디지털자산 시대를 선도할
새로운 금융서비스 플랫폼
금융권 출신 블록체인·핀테크 전문가들이 모여 설립한
금 융 서 비 스 전 문 기 업
Partners
Media
-
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‘인피닛블록’, 기보벤처캠프 제12기 선발
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기업 인피닛블록이 기술보증기금에서 주관하는 제12기 기보벤처캠프에 최종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.
2023.03.15
-
가상자산 수탁 기업 인피닛블록, 'ISMS 예비인증' 획득
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기업 인피닛블록(대표 정구태)은 정보보호 관리체계(ISMS) 예비인증을 획득했다고 3일 밝혔다.
2023.03.08
-
인피닛블록, ‘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관리시스템’ 특허 등록
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업체 인피닛블록은 ‘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' 특허를 등록했다고 16일 밝혔다.
이 특허는 가상자산 관리를 위한 이용자 계정을 신청자와 승인자 계정으로 분산시켜 외부로부터 탈취, 해킹 위험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.2023.02.16
-
인피닛블록, '가상자산 수탁' 플랫폼 자체 개발
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스타트업 인피닛블록(대표 정구태)은 디지털자산에 특화된 ‘카본 커스터디’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.
플랫폼은 비트코인,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을 비롯하여 증권형토큰(STO), 대체불가토큰(NFT) 등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구동되는 디지털화된 모든 자산을 다룬다. 이용자 보유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·관리할 수 있는 일종의 디지털 금고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.
인피닛블록이 자체 개발한 카본 커스터디는 프라이빗키가 외부 해킹, 탈취 등 분실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멀티시그(다중서명) 기술을 적용했다. 인터넷과 완전히 단절된 콜드월렛도 제공해 철저한 보안을 구현했다.
특히 자산관리 담당자가 회사의 보유 자산을 쉽고 편리하게 운영·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UX·UI를 채택했다. 이용자가 한눈에 보유 자산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 형태의 자산 현황을 비롯해 입출금 관리, 활동 내역, 권한 설정, 화이트리스트 관리 등 기업이 보유한 디지털자산 관리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한다.
인피닛블록은 지난 8월, 핀테크혁신펀드 시드 투자를 시작으로 SK증권, DGB대구은행에서 연이어 전략적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. 이를 통해 은행, 증권 등 금융권 협업 모델 발굴, 확장은 물론이고 커스터디 사업 자체의 신뢰성도 높인다는 계획이다.
정구태 인피닛블록 대표는 “커스터디 사업의 성공 요소 중 하나인 자체 블록체인 기술 확보라는 측면에서 플랫폼 기획에서부터 설계, 구현, 검증에 이르기까지 모든 개발 단계를 내재화했다”며 “독창적이면서 한 단계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수리를 내년 초에 완료하고 본격적인 시장 경쟁에 나서겠다”고 말했다.2022.11.28
-
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스타트업 인피닛블록, ‘벤처기업 인증’ 획득
서울핀테크랩 입주기업인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스타트업 인피닛블록(대표이사 정구태)이 24일 ‘벤처투자유형 벤처기업확인서’를 획득했다고 밝혔다.
2022.08.25
-
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스타트업 ‘인피닛블록’, SK증권·DGB대구은행에서 시드 투자 유치
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스타트업 인피닛블록이 DGB대구은행과 SK증권에서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.
2022.08.12
FAQ
-
커스터디 서비스 회원가입은 어떻게 하나요?
현재 개인은 가입이 불가하며 법인 및 단체, 기관 고객만 가입이 가능합니다.
문의하기를 통해 희망하는 서비스 내용 및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빠르게 연락드리겠습니다. -
고객확인제도는 무엇이며 꼭 해야 하나요?
고객확인제도는 특정금융정보법 제 5조의 2에 의하여 가상자산사업자를 포함한 모든 금융사가 시행해야 하며,
고객확인제도에 따른 점검 결과 거래 거절로 판단되거나 고객확인이 불가한 경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. -
고객확인제도의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?
법인 및 기관 고객 특성 상 필요 서류의 접수 및 대면 확인을 통한 검증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.
또한 정기, 비정기로 추가 확인 요구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. -
트래블룰이 무엇인가요?
특정금융정보법에 따라 가상자산의 이전과 함께 송·수신인 관련 정보를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제도로서 2022년 3월 25일부터 모든 가상자산사업자에게 적용됩니다.
Contact Us